본문 바로가기
생활공부

에요 예요 쉽게 구분하는 법

by ysroom 2024. 7. 3.

 

안녕하세요. 아니에요, 아니예요, 뭐가 맞을까요?

에요와 예요는 정말 많이 사용하지만, 아무리 봐도 헷갈리는데요.

오늘은 정말 확실하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에요 예요
에요 예요

 

 
 

에요 예요

 

에요와 예요는 원리부터 파고들면 너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가장 쉬운 방법으로 정리하고,

그런 다음에 자세히 원리를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먼저 가장 쉬운 방법!

 

에요: 받침이 있을

예요: 받침이 없을

 

이해할 필요 없이 예시를 그냥 외우면 됩니다.

 

 

책상이에요 / 의자예요

연필이에요 / 지우개예요

 

 

그런데 '에요' 앞에는 '이'가 붙죠?

원리는 몰라도 그냥 자연스럽게 느껴집니다.

우리는 한국인이니까요.ㅎㅎ

연필에요는 이상하고 연필이에요가 자연스럽죠?

 

어쨌든 이렇게 받침으로 구분하면 가장 쉽습니다.

 

 

받침이 있으면: 에요

받침이 없으면: 예요

 

 

처음엔 적응 기간이 좀 걸리겠지만

익숙해지면 무의식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정도만 해도 머리가 아프다면

여기까지만 보셔도 사실 충분합니다.

 

그런데 저렇게만 알면 틀리는 경우들이 있어요.

그래서 더 자세한 내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그럼 더 자세히 정리해 봅시다!

 

 

1) 에요

먼저 '에요'를 볼게요.

'에요'는 '이다', '아니다'에 붙여 쓰는 존댓말입니다.

 

책이다 / 책이에요

책이 아니다 / 책이 아니에요

 

 

존댓말이니까 '다'를 일단 빼야 하잖아요.

그리고 '에요'를 붙이면 됩니다.

 

이다에 다를 빼고 에요를 붙이면

: 이에요

 

아니다에 다를 빼고 에요를 붙이면

: 아니에요

 

어렵지 않죠?

 

'이다', '아니다'의 존댓말이 '에요'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예요

그러면 '예요'는 뭘까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이에요'가 받침이 없는 말에 붙을 때는

줄여서 쓸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때 '이에요'의 준말은 '예요'로 씁니다.

 

즉, '예요'는 '받침이 없을 때 쓴다'고 쉽게 기억하시면 됩니다.

 

의자이에요 -> 의자예요

지우개이에요 -> 지우개예요

 

 

받침이 있을 때는 줄여 쓰지 않습니다.

책상이에요 -> 책상예요 (x)

 

 

'예요'는 언제 쓴다고요?

: 받침이 없을 때!

 

 

까먹을 거 같으면 예시를 외우세요.

책상이에요, 의자예요

 

이거 두 개만 꼭 외우세요!

 

책상이에요.. 의자예요..

책상이에요.. 의자예요..

 

이에요랑 예요랑 비교해 보면 예요가 딱 줄임말처럼 생겼잖아요.

그렇죠?

 

 

3) 예외

사람의 이름을 부를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가 받침이 있는 이름을 부를 때는

'~이'를 붙이잖아요?

 

옥순이, 영식이, 영숙이 (o)

광수이, 영호이, 순자이 (x)

 

 

즉, 받침이 있는 이름은

'이'를 붙여야 받침이 없는 이름과 똑같이 취급합니다.

 

그래서 '이'까지 붙은 이름을 하나로 본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영숙이' 이러면 '이'로 끝나니까

최종적으로 받침이 없어지죠?

 

받침이 없으면 '에요'였나요, '예요'였나요?

'예요'였습니다.

 

그래서 '영숙이예요'로 씁니다.

'영숙이' + '예요'

 

이해되셨죠?

 

여기까지 에요 예요의 차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으셨나요?

 

 

그럼 이제 예문을 보면서 구분하는 연습을 해봅시다.

 

 

에요 예요 구분하기

 

1. 갈 거에요 / 갈 거예요

: '갈 거'는 받침이 없으므로 '갈 거예요'

 

2. 누구에요 / 누구예요

: '누구'는 받침이 없으므로 '누구예요'

 

3. 될 거에요 / 될 거예요

: '될 거'는 받침이 없으므로 '될 거예요'

 

4. 뭐에요 / 뭐예요

: '뭐'는 받침이 없으므로 '뭐예요'

 

5. 별로에요 / 별로예요

: '별로'는 받침이 없으므로 '별로예요'

 

6. 아니에요 / 아니예요

: '이다', '아니다'의 존댓말이 '에요'라고 했었죠?

따라서 '아니에요'가 맞습니다.

 

7. 언제에요 / 언제예요

: '언제'는 받침이 없으므로 '언제예요'

 

8. 엄마에요 / 엄마예요

: '엄마'는 받침이 없으므로 '엄마예요'

 

9. 여기에요 / 여기예요

: '여기'는 받침이 없으므로 '여기예요'

 

10. 이거에요 / 이거예요

: '이거'는 받침이 없으므로 '이거예요'

 

11. 영숙이에요 / 영숙이예요

: 사람 이름을 말하므로 '영숙이예요'

 

12. 저에요 / 저예요

: '저'는 받침이 없으므로 '저예요'

 

13. 친구에요 / 친구예요

: '친구'는 받침이 없으므로 '친구예요'

 

14. 할 거에요 / 할 거예요

: '할 거'는 받침이 없으므로 '할 거예요'

 

 

 

 

지금까지 에요와 예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와 함께 다시 만나요!

 

 

댓글